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년 09월 16일 23시 00분  조회:3172  추천:0  작성자: 죽림
에드윈 마크햄

시 = <원>

그는 원을 그려
나를 밖으로 밀어냈다. 
나에게 온갖 비난을 퍼부으면서.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과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
나는 더 큰 원을 그려
그를 안으로 초대했다.


===============================
박승원의 1분 독서 -
한 수 위 사람이 되자
  •  김민성 미래한국 기자
  •  

 

한 수 위 사람이 되자


계속 밀어내면

원은 점점 작아진다.

더 많이 초대하고 끌어들일수록

원은 넓어진다.

/류시화, <시로 납치하다>에서


 

류시화 시인의 책 <시로 납치하다>에 소개된 에드윈 마크햄의 시 ‘원’을 읽습니다.


 

"그는 원을 그려 나를 밖으로 밀어냈다.

나에게 온갖 비난을 퍼부으면서.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과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

나는 더 큰 원을 그려 그를 안으로 초대했다."


 

이 시의 원제목은 ‘한 수 위’라고 합니다.

작은 원을 그려 미운 사람을 원 바깥으로 밀어내는 사람보다 더 큰 원을 그려 미운 사람도

안으로 끌어들이는 사람이 ‘한 수 위’라는 겁니다.


 

노자의 말이 생각납니다.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기에 밝아집니다.(不自見故明)

스스로를 옳다고 하지 않기에 돋보입니다.(不自是故彰)

스스로를 뽐내지 않기에 공로를 인정받습니다.(不自伐故有功)

스스로를 자랑하지 않기에 오래 갑니다.(不自矜故長)

싸우려 하지 않기에 천하도 싸우려 하지 않습니다.(不惟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삶의 하수는 

스스로를 드러냅니다.

스스로를 옳다고 합니다.

스스로를 뽐내려고 합니다.

스스로를 훌륭하다고 합니다.

남과 경쟁해서 이기려 합니다.

자신의 원을 작게 그려 놓고 다른 사람들을 원 밖으로 밀어내는 사람입니다.

삶이 빈약해집니다.


 

삶의 고수는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옳다고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뽐내려고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훌륭하다고 하지 않습니다.

남과 경쟁하지 않고 포용하려 합니다.

자신의 원을 크게 그려 놓고 다른 사람들을 원 안으로 끌어들이는 사람입니다.

삶이 풍족해집니다.


 

다시 원을 그립니다.

내게서 남을 밀어내려고 작게 그렸던 원을 지우고 내게 남이 들어올 수 있도록

보다 크게 원을 그립니다.

 

한 수 위 사람이 됩니다.


======================///
...
...
에드윈 마크햄은 말합니다.
“그는 원을 그려 나를 밖으로 밀어냈다.
나에게 온갖 비난을 퍼부으면서.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과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
나는 더 큰 원을 그려 그를 안으로 초대했다.” 


더 큰 원을 그리는 것이 지혜로운 관계의 비결입니다.
캐나다 로키의 그 산을 만났을 때, 아마도 제 마음의 원은 지름이 쑥 늘어났을 겁니다.
왜 그럴까요? 사람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위대함을 만날 때
그 위대함을 닮고 싶어지기 때문입니다.
큰 바위 얼굴을 매일 보고 자란 소년이 결국 스스로 큰 바위 얼굴이 되는 것처럼. 


자연과 마주할 때보다 더 위대한 만남은 보이지 않는 가치를 제대로 만나는 순간입니다.
삶의 정수를 제대로 마주하게 해 주는 지혜가 내 얼어붙은 삶에 도끼처럼 내리칠 때
느끼는 전율과 감동은 우리의 원을 백배, 천배로 크게 넓혀줍니다.
그래서 이구동성으로 고전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들을 목소리 높여 외치는가 봅니다. 


///인문고전독서포럼 대표 /조신영

출처 : 경북매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 2022-06-08 0 2553
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 남영전 2021-12-20 0 2194
1568 [문단소식]- 훈춘 김동진시인 "풍경소리" 울리다... 2021-09-07 0 2162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540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523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496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332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381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330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355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437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194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446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429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372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426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456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287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219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394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285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345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406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416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451
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 김룡운 2021-05-24 0 2323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103
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 현춘산 2021-05-24 0 2563
1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시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0 0 2581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383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453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571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331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700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629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718
1534 [시공부] -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01-18 0 2914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243
1532 [타산지석] - 늘 "이기리"... 꼭 "이기리"... 2020-12-28 0 3077
1531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10-10 0 2990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